노션을 활용해서 글쓰기는 노션으로 정리하기
노션은 생산성 앱 협업 툴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했고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노션을 어떻게 활용해서 글쓰기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노션을 활용한 다양한 글쓰기 방식
노션에서는 한 페이지 안에 여러 하위 페이지들을 넣을 수 있는데 새로운 페이지를 만들 때 /페이지 선택 후에 만들어진 페이지에 들어가면 /리스트를 입력하고 리스트 보기를 선택해서 오른쪽 하단에 있는 [+새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눌러서 각각의 페이지에 원하는 글쓰기를 할 수 있고 하단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해서 계속 추가할 수 있다.
노션의 토글 목록을 활용하면 주제나 질문들을 적고 내용과 답변들을 토글로 숨겨줄 수가 있는데 찾고자 하는 주제나 질문들을 빠르게 찾을 수 있어서 편리하고 링크를 입력하면 북마크 생성도 가능하며 Google 문서의 경우에는 임베드 생성도 가능해서 정말 편리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노션에서 콜 아웃은 주로 소제목을 적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한데 칸 나누기에 좋고 중간에 이모지를 넣어서 나만의 개성 있고 돋보이는 글을 작성할 수 있으며 /콜 아웃을 입력하고 콜 아웃을 선택해서 내용을 입력하고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
노션의 모든 글들은 pdf로 만들 수 있어서 글씨가 더 또렷하고 깔끔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pdf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페이지에서 오른쪽 상단의 점 세 개(더보기)를 누르고 내보내기를 눌러서 내보내기 형식, 포함할 콘텐츠, 페이지 형식, 크기 비율 등을 선택해 주면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노션을 활용한 글쓰기 협업
노션을 활용하면 아이디어를 모으기가 편리하고 협업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까지도 지원하기 때문에 글쓰기 아이디어 수집과 피드백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노션에서 보드 형식의 관리 프로세스는 단계별로 주제를 나눌 수 있고 원하는 대로 메뉴를 꾸밀 수 있어서 글쓰기 관리를 하거나 프로세스 관리 또는 일정 관리하기가 편해진다.
노션에서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유하기를 원하는 페이지의 오른쪽 위에 있는 [공유] 버튼을 클릭하고 [웹에서 공유]를 활성화하면 된다. 웹에서 공유를 활성화하면 권한 수준을 지정할 수 있는데 노션의 권한 수준은 아주 세분화되어 있고 페이지를 공유한 모든 사용자 및 그룹에 서로 다른 액세스 레벨을 지정할 수가 있다.
노션 페이지에 사용자를 초대하거나 공유를 클릭하면 편집 허용, 댓글 허용, 템플릿 복제 허용, 검색 엔진 인덱싱(개인 프로 요금제만 해당)의 접근 수준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이메일, 그룹, API 통합 [초대]를 클릭하면 새로운 창에서 이메일, 사용자 이름, 그룹 검색이 가능하고 편집 허용을 클릭하면 전체 허용(개인 프로 요금제만 가능), 편집 허용, 내용 편집 허용, 댓글 허용, 읽기 허용을 선택하게 되어 있다. 전체 허용은 편집 및 다른 사람과 공유를 허용한다는 것이고, 편집 허용은 편집은 허용하지만 다른 사람과 공유는 불가, 내용 편집 허용은 데이터베이스 내용 편집은 허용하지만 보기나 구성은 편집 불가하고, 댓글 허용은 읽기 및 댓글은 허용하지만 편집은 불가, 읽기 허용은 편집 및 다른 사람과 공유는 불가하다는 것이다.
노션에 사용자를 초대하면 팀의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한데 글쓰기 한 내용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수정할 수도 있고 누가 언제 어느 페이지에 접속했는지 기록도 남기 때문에 협업 도구로 활용하기 좋다. 또한 업무 일정관리 캘린더뿐만 아니라 회의 내용을 효율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회의록 템플릿까지 만들 수 있어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노션에서 협업하면서 관리하는 달력을 만들 수 있는데 먼저 /리스트 보기를 선택하고 각 사용하는 사람들의 목록을 만든 후에 사람들이 입력할 수 있는 달력도 만드는데 달력은 /캘린더 보기라고 입력해서 생성하면 된다. 이제 사람 목록과 달력을 연결하기 위해 속성 추가를 멤버라는 이름으로 유형은 관계형으로 선택한 후 팀원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면 되는데 이렇게 설정하게 되면 팀원 이름을 누르면 그 팀원에 해당하는 내용만 볼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노션 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션으로 습관 관리 시스템 만드는 방법 (0) | 2022.06.02 |
---|---|
노션으로 해야 할 일 빈틈없이 실행하는 방법 (0) | 2022.06.02 |
노션 기능 제대로 알고 글쓰기는 노션으로 활용하기 (0) | 2022.05.28 |
노션의 기본기능 알아보고 글쓰기는 노션으로 시작하기 (0) | 2022.05.27 |
노션의 미디어 블록과 임베드 블록 활용하는 방법 (0) | 2022.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