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션 학교

노션 단축키로 쉽게 사용하는 방법

by 성장하는 노션 리나 2022. 6. 8.
반응형

노션 단축키로 쉽게 사용하기

노션 사용 시에 기본 단축키와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를 알고 있으면 아주 쉽게 빠르게 페이지를 구성하고 문서를 작성하고 정리할 수 있으며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어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처음에는 어렵고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잘 숙지하고 익숙해지면 단축키 사용을 즐기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1. 새 페이지 생성하기

노션을 사용할 때 새 페이지 생성을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단축키로 새 페이지 생성은 키보드의 Ctrl 키와 N을 눌러주면 되고 여기에 Shift 키를 눌러주면 현재 페이지를 새 창에서 열어주어서 여러 페이지를 봐야 하는 경우 기존 창 위에 새로운 창이 동일하게 열리게 된다.

2. 빠른 검색 실행하기

기존 문서를 찾거나 문서를 작성하다 다른 문서의 내용이 필요한 경우에 노션 내에 있는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단축키를 Ctrl 키와 P를 누르면 되고 팝업 된 검색 창에 찾으려고 하는 제목이나 내용을 입력하면 원하는 결과를 빠르게 찾아서 확인할 수 있어서 문서를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아도 된다.

3. 사이드바 숨기기

노션에서 왼쪽에 있는 사이드바는 숨길 수 있는데 Ctrl 키와 ₩ 를 누르면 동일한 창 크기에서도 더 많은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어서 논문이나 글쓰기를 할 때 한 페이지 안에서 확인하고 검토하기 편리하고 다시 Ctrl 키와 ₩ 를 누르면 사이드바가 보이게 된다.

4. 기본 블록 바꾸기

노션의 기본 블록은 다양해서 페이지를 구성할 때 단축키를 알고 있으면 빠르게 변경할 수 있는데 문서 작성 시 처음에 제목 블록을 선택할 때 Ctrl 키와 Shift 키에 1 또는 2 또는 3을 누르면 차례대로 글씨 크기에 따른 제목 1, 제목 2, 제목 3에 해당하는 텍스트가 제목의 서식으로 변경이 된다.

목록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글머리 기호는 Ctrl 키와 Shift 키에 5를 누르면 되고 Ctrl 키와 Shift 키에 6을 누르면 번호 매기기 블록으로 변경이 되고 할 일 목록으로 블록 변경 시에는 변경 시에는 Ctrl 키와 Shift 키에 4를 누르고 토글 목록 블록으로 변경 시에는 Ctrl 키와 Shift 키에 7을 누르면 된다. 토글 목록 블록은 ▼를 클릭해서 내용 전체를 보거나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서 많은 내용을 담을 때 사용하기 좋은 블록 유형이다.

5. 블록 선택 및 해제하기

블록에서 편집을 하려면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전체를 선택해서 지우거나 해야 하는데 Esc 버트 하나만 있으면 블록 전체를 선택할 수도 있고 해제할 수도 있어서 빠르게 편집이 가능하다.

6. 다크 모드 실행하기

화면 보기를 다크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노션의 사이드바에서 설정과 멤버를 클릭하고 내 알림과 설정은 눌러서 내 설정에 있는 테마에서 변경을 해야 하는데 Ctrl 키와 Shift 키에 L을 누르면 바로 다크 모드로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7. 페이지 이동하기

페이지에서 앞이나 뒤로 가기 단축키를 사용하면 많은 페이지들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데 Ctrl 키와 [ 를 누르면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고 Ctrl 키와 ]를 누르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8. 그 외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블록에서 Enter를 누르면 텍스트 줄을 삽입하게 되고 Shift와 Enter를 누르면 블록 안에서 텍스트 줄을 바꿀 수 있고 - 3개를 연속해서 입력하면 구분선이 만들어진다. 텍스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Ctrl 키와 B를 누르면 텍스트가 굵게 표시되고 Ctrl 키와 I를 누르면 기울임 꼴로 표시가 되고 Ctrl 키와 Shift 키와 S를 누르면 취소선이 그어지게 되며 Ctrl 키와 K를 누르면 링크를 추가할 수 있다.

Tab키를 누르면 들여 쓰기를 할 수 있는데 들여 쓰기를 한 블록은 위에 있는 블록에 중첩되는 하위 블록이 되고 상위 블록을 선택하면 그 안에 있는 중첩된 모든 하위 블록도 함께 선택이 되며 Shift 키와 Tab키를 누르면 들여 쓰기가 취소된다.

블록에서 시작이나 끝에 /turn을 입력하게 되면 선택 리스트가 나타나고 다른 유형으로 전환이 가능하고 텍스트 블록의 시작이나 끝에 /색상을 입력하면 글자 색 또는 배경색을 바꿀 수 있고 /기본을 입력하면 글자 색이나 배경색을 없앨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