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에서 데이터베이스 만들고 미디어 추가하는 방법
노션은 단순 메모 기능 이외에도 많은 기능들이 있는데 오늘은 그중에도 꼭 필요한 기능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코드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일정 관리나 책이나 영화와 관련된 기록, 프로젝트 관리에서 꼭 필요한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인데 엑셀에서 표를 만드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먼저 빈 페이지에서 블록 추가 /(슬러시)를 누르면 데이터베이스 항목이 보이는데 /데이터로 입력하기만 해도 데이터베이스 항목으로 이동이 되어 선택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의 종류는 6가지로 표와 보드, 갤러리, 리스트, 캘린더, 타임라인이 있으며 표는 가장 기본적인 표 형태이고 보드는 칸반 보드 형태로 일의 진척도를 확인하기에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갤러리는 사진이 메인인 게시판 형태로 영화를 관람하고 목록을 만들 때 영화의 포스터를 저장하고 갤러리 형식으로 보면 영화 목록을 깔끔하게 볼 수 있다.
리스트는 리스트 형식으로 나열된 형태이며 캘린더는 달력 형태로 다이어리의 월간 기록 형태이고 타임라인은 프로젝트 관리에 최적화된 타임라인 형태라고 보면 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인라인과 전체 페이지로 나누어져 있는데 인라인은 현재 페이지 내에 데이터베이스를 그대로 삽입하는 기능으로 페이지 내에 다른 블록을 추가할 수 있고 자체 페이지는 현재 페이지 내에 서브 페이지로 데이터베이스를 삽입하는 기능으로 블록을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하나에만 집중할 수 있다.
이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데이터를 입력해서 표 보기를 선택했다면 표의 제목을 입력하고 태그 옆에 있는 +(플러스) 버튼을 눌러서 열을 추가하고 하단의 [+ 새로 만들기]를 눌러서 행을 추가하면 된다. 표의 항목을 클릭해서 속성을 바꿀 수 있는데 항목의 속성에는 텍스트, 숫자, 선택, 다중 선택, 날짜, 사람, 파일과 미디어, 체크박스, URL, 이메일, 전화번호가 있다.
항목에는 기본적으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고 숫자는 금액을 표기해서 가계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선택은 태그를 달아서 분류할 수 있고 사람은 담당자 또는 참여자처럼 관련된 사람을 태그 한다. 또한, 파일이나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체크 박스를 입력하고 링크를 연결하거나 이메일,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만든 이후에 처음 선택했던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변경하고 싶으면 삭제하고 처음부터 다시 만드는 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제목 옆에 있는 [+ 보기 추가]를 클릭해서 보드, 타임라인, 캘린더 등 다른 형식으로 간단하게 바꿀 수가 있고 언제든지 항목을 선택해서 다양한 모습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미디어 이미지와 동영상, 코드 추가하기
노션에는 다양한 형식의 파일들을 업로드할 수 있는데 이미지나 동영상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로 된 코드 블록까지도 가능하고 블록에서 /미디어를 입력하면 이미지, 북마트, 동영상, 코드를 선택하면 된다.
미디어 항목을 불러와서 파일 형식을 직접 선택하거나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노션 페이지에 직접 붙여 넣을 수도 있는데 이미지는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직접 업로드하는 업로드 기능과 웹상에 있는 이미지를 가져와서 업로드하는 링크 임베드 기능이 있다.
북마크 항목을 지정하면 URL을 입력해서 보기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데 해제는 아무런 형식 없이 URL을 그대로 보여 주고 북마크 생성은 URL의 내용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타이틀의 텍스트와 사진을 함께 보여 주고 임베드 생성은 URL를 입력하고 나타나는 웹 화면을 그대로 보여 준다. 임베드 창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으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창의 크기를 작게 하면 모바일 버전으로 볼 수도 있다.
동영상을 선택하고 동영상 링크를 넣으면 동영상을 이미지처럼 임베드할 수 있는데 이미지 블록의 임베드 생성 기능과 비슷하고 링크 임베드는 유튜브 등 온라인 동영상 링크를 붙여 넣을 수 있는데 유튜브 링크를 붙여 넣기 하면 유튜브 섬네일 이미지까지 그대로 노션에 나타나게 된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된 코드를 노션에 삽일할 수 있는데 미디어에서 코드를 선택하면 회색 코드 블록이 나타나고 코드를 입력한 후 적용할 언어를 선택하면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문자의 색상을 구별해 주기 때문에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노션 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홈페이지 노션으로 만드는 방법 (0) | 2022.06.18 |
---|---|
노션을 더 풍부하게 활용하는 방법 (0) | 2022.06.17 |
Notion 히스토리 페이지 복구 방법 알아보기 (0) | 2022.06.14 |
노션에서 자료 빠르게 찾는 빠른 검색 기능 알아보기 (0) | 2022.06.14 |
노션 단축키로 쉽게 사용하는 방법 (0) | 2022.06.08 |
댓글